담낭암 수술에 대해 알아봅시다(1)

 

담낭은 소화기의 다른 장관과 달리 점막하층(submucosa)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담낭암이 점막층을 침범하게 되면 이어서 바로 근육층(muscle layer)을 침범할 수가 있습니다. 또한 담낭의 상부는 간에 연접되어 있고 담낭의 상부와 간 사이에는 커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담낭의 상부를 침범한 담낭암은 간의 실질로 침윤이 가능합니다. 위와 같은 해부학적 구조는 담낭암의 진행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요인이 되며, 진단 당시 이미 수술이 불가능한 상태로 진단되는 원인이 됩니다. 담낭암은 원발암이 침범한 위치 또는 범위에 따라 수술 방법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수술적 범위 및 방법이 매우 다양해집니다. 담낭암 수술 치료 방법 담낭은 소화기의 다른 장관과 달리 점막하층(submucosa)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담낭암이 점막층을 침범하게 되면 이어서 바로 근육층(muscle layer)을 침범할 수가 있습니다. 또한 담낭의 상부는 간에 연접되어 있고 담낭의 상부와 간 사이에는 커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담낭의 상부를 침범한 담낭암은 간의 실질로 침윤이 가능합니다. 위와 같은 해부학적 구조는 담낭암의 진행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요인이 되며, 진단 당시 이미 수술이 불가능한 상태로 진단되는 원인이 됩니다. 담낭암은 원발암이 침범한 위치 또는 범위에 따라 수술 방법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수술적 범위 및 방법이 매우 다양해집니다. 담낭암 수술 치료 방법

치료 목적의 담낭암 수술은 단순 담낭절제술과 근치적(확장된) 담낭절제술로 구분됩니다. 단순 담낭절제술은 담낭만을 제거하는 경우를 말하며, 이 수술은 보통 담낭암보다는 담석 또는 급성 담낭염 등의 양성질환으로 인해 담낭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담낭암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순 담낭절제술의 대상이 되는 경우는 매우 드문 편이며, 반대로 위와 같은 양성질환으로 인해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후 우연히 매우 초기의 담낭암이 확인되는 경우가 종종 확인됩니다. 단순 담낭절제술은 개복수술 또는 복강경 수술을 통해 시행되며, 암이 아닌 양성질환에 대한 수술의 경우에는 수술 후 회복 등을 고려하여 복강경 수술이 권장되지만, 수술 전 검사에서 담낭암이 의심되는 소견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보다 확실한 판단을 위한 개복수술이 선호됩니다. 치료 목적의 담낭암 수술은 단순 담낭절제술과 근치적(확장된) 담낭절제술로 구분됩니다. 단순 담낭절제술은 담낭만을 제거하는 경우를 말하며, 이 수술은 보통 담낭암보다는 담석 또는 급성 담낭염 등의 양성질환으로 인해 담낭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담낭암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순 담낭절제술의 대상이 되는 경우는 매우 드문 편이며, 반대로 위와 같은 양성질환으로 인해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후 우연히 매우 초기의 담낭암이 확인되는 경우가 종종 확인됩니다. 단순 담낭절제술은 개복수술 또는 복강경 수술을 통해 시행되며, 암이 아닌 양성질환에 대한 수술의 경우에는 수술 후 회복 등을 고려하여 복강경 수술이 권장되지만, 수술 전 검사에서 담낭암이 의심되는 소견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보다 확실한 판단을 위한 개복수술이 선호됩니다.

 

원발성 암이 고유 점막층 또는 근육층까지 침범한 T1, 근육층을 넘어 간 쪽(hepatic side) 또는 복막 쪽(peritoneal side)의 주변 결합조직을 침범하였으나 막은 침범하지 않은 T2에 해당하는 담낭암은 근치적 목적의 담낭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T1 중점막 고유층만 침범한 T1a 병기 1기 담낭암은 단순 담낭절제술(simple cholecystectomy)만 시행해도 수술 경계면이 음성으로 확인될 경우 완치율이 85~100%까지 보고되었습니다. 원발성 암이 고유 점막층 또는 근육층까지 침범한 T1, 근육층을 넘어 간 쪽(hepatic side) 또는 복막 쪽(peritoneal side)의 주변 결합조직을 침범하였으나 막은 침범하지 않은 T2에 해당하는 담낭암은 근치적 목적의 담낭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T1 중점막 고유층만 침범한 T1a 병기 1기 담낭암은 단순 담낭절제술(simple cholecystectomy)만 시행해도 수술 경계면이 음성으로 확인될 경우 완치율이 85~100%까지 보고되었습니다.

하지만 근육층까지 침범한 T1b 병기 담낭암은 근육층 주변 결합조직 침범이 없는데도 단순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1년 생존율이 50%에 불과하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이는 단순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T1b 병기 환자의 약 10% 이상에서 잔류병소가 확인됐고, 10~20%에서 림프절 전이가 발생했다는 점에 따른 것으로 생각되며, 실제로 이 환자의 잠재적 국소 재발 위험도는 20~50%에 달합니다. 따라서 담낭절제술 후 T1b에 해당하는 담낭암이 우연히 발견될 경우에는 IVB와 V구역 간 실질과 문맥 림프절 절제를 포함한 확장된 범위의 근치적 절제술이 권장됩니다. 암이 간 쪽 또는 복막 쪽 근육층 주변 결합조직을 침범했지만 장막 침범은 일어나지 않은 T2무기 담낭암으로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5년 생존율은 과거 20~40%로 보고됐으며 이 중 근치적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경우는 약 70~80%로 확인됐습니다. 전체 환자의 약 3분의 1 이상에서 림프절 침범이 나타났으며, 특히 원발암이 복막 쪽에 존재하는 경우보다 간 쪽에 존재하는 경우 신경 및 혈관 침범, 림프절 전이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5년 생존율에서도 복막측 종양이 간측 종양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특히 간측에 존재하는 T2 병기의 담낭암은 근치적 절제술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근육층까지 침범한 T1b 병기 담낭암은 근육층 주변 결합조직 침범이 없는데도 단순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1년 생존율이 50%에 불과하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이는 단순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T1b 병기 환자의 약 10% 이상에서 잔류병소가 확인됐고, 10~20%에서 림프절 전이가 발생했다는 점에 따른 것으로 생각되며, 실제로 이 환자의 잠재적 국소 재발 위험도는 20~50%에 달합니다. 따라서 담낭절제술 후 T1b에 해당하는 담낭암이 우연히 발견될 경우에는 IVB와 V구역 간 실질과 문맥 림프절 절제를 포함한 확장된 범위의 근치적 절제술이 권장됩니다. 암이 간 쪽 또는 복막 쪽 근육층 주변 결합조직을 침범했지만 장막 침범은 일어나지 않은 T2무기 담낭암으로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5년 생존율은 과거 20~40%로 보고됐으며 이 중 근치적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경우는 약 70~80%로 확인됐습니다. 전체 환자의 약 3분의 1 이상에서 림프절 침범이 나타났으며, 특히 원발암이 복막 쪽에 존재하는 경우보다 간 쪽에 존재하는 경우 신경 및 혈관 침범, 림프절 전이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5년 생존율에서도 복막측 종양이 간측 종양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특히 간측에 존재하는 T2 병기의 담낭암은 근치적 절제술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